전체 글 530

스리랑카의 누와라 엘리야, 스리 파다, 하푸탈레

남인도 첸나이에서 항공편으로 스리랑카에 도착, 캔디에서 불교유적을 찾는 일행들과 헤어져혼자 시외버스를 타고 누와라엘리아에 왔습니다.콜롬보 공항에서 환전하니 1유로에 14.5 스리랑카 루피. 1루피는 우리 돈으로 약 10원입니다.  고원의 서늘한 날씨를 기대했지만12월이면 끝난다는 우기가 1월이 되어도 여전하여  누와라엘리야에서는 계속 비가 왔습니다.그러나 남인도와 비교되는 짙푸른 숲과 울창한 가로수들, 깨끗한 거리에 사람들의 표정도 밝습니다.이곳은 스리랑카 중부의 고원지대로 차 재배의 중심지입니다.    첫날의 내 숙소는 숲에 둘러싸인 외곽에 있었지요.  다음날 아침 일찍, 'Sri Pada'에 가기 위하여 이동.누와라엘리아에서  Hatton까지 2시간, 거기에서 Maskeliya는 1시간, 다시 1시간..

바르깔라, 트리밴드럼과 깐냐꾸마리, 폰티체리, 마말라뿌람, 첸나이

남인도의 대표적 도시인 바르깔라, 트리밴드럼과 깐냐꾸마리, 폰티체리, 마말라뿌람, 첸나이로 죽 내려가면서 남긴간략한 기록, 사람살이의 단편적인 모습으로 먼저 바르깔라입니다. 바르깔라 시내에서 축제를 맞이한 자이나 교인들의 거리 행진이 보았습니다.자이나교는 영혼의 완전한 정화를 통하여 자유를 얻을 수 있다고 믿어 철저한 무소유를 수행하는 불교의 한 종파로 여기 바르깔라는 그들의 성지 중 하나랍니다.   한낮의 무더위 속에서도 경건한 행진은 오랫동안 길게 이어졌습니다.곳곳에서 행사 진행 요원들이 신도들에게 물을 나눠주고 있었지요.   이들의 행진 목적지는 자이나교에서 200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자나르다나 사원.   정문 장식이 화려했습니다.  언덕 아래에 있는 바르깔라의 해변은 현지인과 여행자의 해변의 두..

마이소르와 코친

밤 기차를 타고 뱅갈로르를 거쳐 마이소르에 도착하였습니다.함피가 있는 호스펫에서 이곳까지는 기차가 다니지만 식민지 시절, 각 지역의 통치자들이 건설한 선로의 폭은 지방마다 달라서 호환이 되지 않기 때문에 기다리는 시간을 아끼려고 뱅갈로르에서는 아예 시외버스로 갈아탔습니다. 마이소르의 마하라자 궁전은 휴일을 맞아 찾아온 인도인 관광객들로 아주 복잡해서 그야말로 '발 디딜 곳'도 없기에 일단 철수,    조금 한산해진 밤에 다시 갔습니다.나를 이곳에 오게 한 풍경,  마이소르의 마하라자 야경입니다.건물에 매단 수 천 개의 작은 전구에 불이 들어오면서 만들어지는 환상적인 야경은 남인도 여행의 대표적인 이미지였지요.전력 사정이 좋지 않던 시절에는 이 행사 때문에 마이소르 시 전체가 일시 정전되는 일도 있었다네요..

남인도에서 고아, 함피

2010년 12월 20일 출발, 1월 14일까지 26일 동안 뭄바이 인, 캔디 아웃의 남인도와 스리랑카를 돌았던 여행입니다. 남인도와 스리랑카를 묶은 25일의 단체 배낭에서 남인도 마말라뿌람을 끝으로 스리랑카에서는 혼자 돌아다녔지요. 여행의 시작은 뭄바이로 중부를 돌았던 10년 전의 여행에서 한 번 거쳐간 도시입니다.인도문 앞에 있는 타지마할 호텔은 여전히 그 아름다움을 자랑하는데 바로 옆 빈민가의 초라함도 변함이 없었네요.      뭄바이 앞에 있는 작은 섬, 엘리펀트에 다녀왔습니다. 11km, 편도 1시간 거리입니다.선박 요금은 현지인들보다 30루피를 더 받아서 130루피.거기다가 섬 입장료 10루피, 유적지로 가는 꼬마 열차 요금 10루피에 석굴 사원 유적지 입장료는 250루피로 현지인의 10배가 ..

폴란드의 비엘리치카 소금광산과 자코파네 국립공원 트레킹

폴란드 비엘리치카의 소금 광산입니다. 이 작은 도시의 지하에는 큰 규모의 암염 채굴장이 있었습니다. 1250년부터 1950년까지 암염을 채굴했던 이곳은 이제 그 역할이 끝나면서 광부들은 그 속에 남은 암염을 이용하여 많은 조각품을 만들었고 그러면서 1978년에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었지요. 지하 325m까지 파내려 간 채굴장은 현재 2.5km 거리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그 안 곳곳에 소금을 채굴하는 광부의 모습을 실물 크기 밀랍인형으로 만들어 암염 조각품과 같이 전시하고 있었지요. 무명의 광부들은 소금 바위를 이용하여 '이집트로 피난 가는 성 가족'과 '최후의 만찬', 폴란드인들의 긍지, 교황 바오로 2세에 독일의 지배를 벗어나 독립 국가를 수립했던 이 나라의 영웅, 유제프 피우수트스키 등 폴란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