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30

라트비아

발트해에 면해 있는 세 나라 중에서 오늘은 라트비아입니다.1989년 8월 23일 저녁 7시, 소련의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을 염원하는 세 나라,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의 국민 200만 명은 각각의 수도인 탈린에서 리가, 빌뉴스까지 600km 거리를 서로 손을 잡아 인간띠로 이으면서평화와 독립의 노래를 불러 전 세계의 이목을 받은 끝에 드디어 독립을 쟁취한, 용기 있는 사람들이 사는 나라이지요.탈린에서 출발한 버스는 리가에 도착할 때까지 울창한 숲과 작은 경작지, 목초지와 발트 해변을 지났습니다.  세 나라 중 라트비아는 경제적으로 제일 어렵다는데 그래서인지 거리에 보이는 사람들의 표정도 어두웠습니다.오랜 기간 독일과 소련의 지배를 받으면서 많이 피폐해진 나라, 전체 인구의 42%를 차지하는 러시..

에스토니아

프라하에서 에스토니아의 탈린으로 이동하는 길입니다.동화작가, 안데르센의 얼굴이 보이는 노르웨이지안 항공의 비행기를 타고    덴마크의 코펜하겐에서 환승,   바이킹 상징이 그려진 에스토니아 항공의 비행기로    탈린에 도착하니 오후 10시에도 이 북극권의 여름은 낮처럼 밝았지요. 서머타임이 실시되면서 우리나라와 6시간의 시차가 있습니다. 중형 택시(100쿠루니, EEK, 우리 돈으로 약 1만 원)를 타고 4박을 예약한 올드타운의 '탈린 백팩커스'에 체크 인.                    다음날 아침, 구시가로 들어가   시청 앞 광장의 주말 시장을 구경하는 중입니다.탈린은 13세기 한자동맹의 중요도시로 무역으로 번영을 누리면서 다양한 길드가 존재했던 경제도시였습니다.    토요일의 느긋한 브런치를 ..

체코의 체스키크룸로프, 훌라쇼비체, 카를로비바리

프라하를 떠나 체스키크룸로프에 도착했습니다.프라하에서 버스로 3시간 거리입니다. 떠나기 전에 예약했던 숙소를 찾아 헤매다가 그 사이에 폐업했다는 소식에 황당했던, 그러나 그런 시간 낭비와 나쁜 소식도 용서해 줄만큼 예쁜 도시, 작은 프라하라고도 불리는 체스키크룸로프입니다.       체스키크룸로프 성은   두 개의 절벽을 이은 돌다리, 플라슈티 위에 3층 건물을 세우면서 연결한 궁전으로  입구에는 처음 이 성을 지었던 비트코프치 가문과 그 뒤를 이어 대대적으로 개조, 증축했던 슈바르젠베르그 가문의 문장이 나란히 새겨있는   견고한 석조 건물에 빨간 지붕의 웅장한 건물입니다.     그 안의 정원도 예뻤네요.   블타바 강이 도시를 휘감아 도는 이 강 위에는 여행자를 태운 배들이 돌아다닙니다.  푸른 숲으..

프라하 근교와 국립공원, 체스키 라이

프라하 근교, 베로운카 협곡의 세계문화유산, 카를스테인 성에 왔습니다. 신성로마제국의 황제이며 보헤미아의 왕이었던 카를 4세가 1348년에 세운 '카를의 돌성'입니다. 보헤미아 왕실의 위상을 보여주는   고딕 양식의 견고하고 웅장한 이 성은 많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면서 여러 작품의 모티브가 되었다네요. 주차장에서 내려 마차를 타고 올라가기도 하지만 주변의 풍경이 아름다워서 걷는 것이 더 좋습니다.                 이 성이 특히 기억에 남은 이유 중의 하나는 여행자들을 맞이하는 환영 연주 때문.   모두가 즐거워하는 시간이었습니다.    성에서 내려다본, 작고 오밀조밀 예쁜 이 마을에는    예스러운 풀무질로 기념품을 만들어내는 대장간 하며    화사한 찻집에   레이스로 만든 섬세한 벽걸..

체코의 수도, 프라하

체코, 폴란드에 발트해의 세 나라,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를 돌았던 기록입니다.러시아 아에로플로트를 이용, 2010년 7월 23일 프라하 in, 8월 22일 out의 31일 일정에 여행 친구 6명이 같이 했습니다.    구시가의 빨간 지붕이 인상적인 체코의 프라하입니다.우리나라의 한강처럼 도시를 가로질러 몰다우 강이 흐르고 있습니다.  현지어로는 블타바이지만 우리에게는 독일식 발음, 몰다우로 더 알려진 강.비행기가 프라하 공항에 착륙하기 직전, 기내에 웅장하게 울려 퍼지던 감동적인 멜로디, 스메타나의 '나의 조국'의 '몰다우', 바로 그 강입니다. 프라하 성으로 가는 카를교를 건너기 직전, 자신의 기념관 앞에 앉아 있는 스메타나는    6개의 교향시로 된 '나의 조국'을 작곡, 나라 사랑을 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