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50

이만익 회고전에서 윤동주를 만나다

올림픽공원 안의 소마미술관에서 화가 이만익(1938~2012)의 10주기 회고전이 있다기에   지하철을 여러 번 갈아타면서 찾아왔습니다. 1988년의 김중업 작품인 화려하고 멋진 남문,  '세계평화의 문'으로 들어가   공원 안, 전 세계 조각가들의 다양한 조각 작품을 보면서   '이만익 회고전'이 열리는 소마미술관,  1관으로 들어갑니다. 화가가 생전에 좋아했다는 시인 윤동주의 '서시' 한 구절,'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에서 차용한 전시 제목, '별을 그리는 마음'입니다. 시인은 별을 노래했지만 화가는 별을 그렸네요.  4개의 전시실에서1,2실은 화가의 생애와 성장, 변혁의 과정을 다루었고3,4에서는 본격적으로 화가의 특색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대표적인 작품을 전시했으며이만..

문화 산책 2022.10.09

영월, 운탄고도

'운탄길'은  강원도의 산악지대에서 채굴한 석탄을 운반하던 산간도로,지금은 걷기 좋은 명품 숲길로 정비되면서 이름도 '구름이 양탄자처럼 펼쳐 있는 고원길', '운탄고도'라 부릅니다.이 길은 영월의 청령포, '운탄고도 1330 통합안내센터'에서 시작하여정선 새비재, 만항재와 함백산을 거쳐 태백과 삼척항의 '소망의 탑'에 이르는,4개 시군 폐광 지역의 해발 3m에서 1330m까지 고지와 능선에 동해바다를 연결한 9길 173.42km,   코스거리(km)예상시간고도 차이(m)볼거리1길청령포 통합안내센터 - 각고개 입구팔과리 카누마을 - 영월 각동리15.605:30186~637청령포, 고씨동굴2길영월 각동리 가재골 - 대야리- 김삿갓면사무소 - 장재터 - 모운동18.806:45171~643예밀촌마을, 김삿갓유..

국내 여행 2022.10.03

연천

강원도 철원에서 이웃한 경기도 연천으로 왔습니다.   연천 역시 포천, 철원과 함께 한탄강 협곡의 주상절리와 독특한 지질에 관련된 관광상품이 많습니다.한탄강의 협곡은 1억여 년 전, 북한의 오리산에서 수차례 분출된 용암이 식으면서 생긴 지형으로곳곳마다 그림 같은 풍경을 만들었지요.전 세계적으로 강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주상절리는 흔하지 않아서 더욱 특별하답니다.   먼저 찾은 곳은 '재인폭포'.입구부터 범상치 않았네요.  재인폭포는 한탄강변에서 가장 아름다운 지형 중의 하나로 연천군의 대표적인 명승지,북쪽의 지장봉에서 흘러내린 계곡물이 주상절리 절벽을 만나면서 폭포를 이룬, 연천 9경 중 제1경입니다.폭포로 가는 길은 두 갈래, 메인 주차장이 있는 광장에서 사진 왼쪽, 사회적 약자를 위한 폭포 가까운 주..

국내 여행 2022.09.27

철원, 2

개화산 자락에 있는 도피안사입니다.   이곳은 통일신라 말 경문왕 5년에 도선대사가 창건한 작은 사찰로 대적광전에는 국보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이, 그 앞마당에는 보물인 ‘도피안사 삼층석탑’이 있습니다.              일제 강점기에는 상해 임시정부의 활동을 지원한 대한독립 애국단의 철원 지부가 여기서 결성되는 등             지역 항일운동의 거점이 되면서 역사적으로도 의미가 있는 사찰이었네요.  화려한 단청의   종각을 지나면  '백마고지 전몰장병을 위한 도피안사 수륙재'를 지낸다는 대적광전이 나옵니다.백마고지에서 전사한 장병의 명복을 비는 재를 올리는 일 또한 고마웠지요.전장에서 어린 나이에 산화한 젊은이들이 저 세상에서는 오래오래 행복하게 잘 살기를 기원합니다.   대적광전 안에는 철..

국내 여행 2022.09.26

철원, 1

작년 가을, 포천에 갔다가 철원의 고석정에 잠깐 들렀을 때는 철원 한탄강의 주상절리 길이 오픈 직전이었고 고석정 꽃밭은 폐장되어 아쉬웠지요. 그래서 제철에 다시 찾아왔습니다. 집에서 새벽 출발, 철원 시내 유명 맛집에서 콩나물국밥으로 아침을 먹고 순담 매표소에서 걷기를 시작합니다. 철원의 한탄강 ‘주상절리길’은 순담 매표소와 드르니 마을 매표소 사이의 절벽에 구멍을 뚫고 기둥을 박아 만든 총길이 3.6㎞, 폭 1.5m, 30~40m 높이의 잔도로 한탄강을 따라 2시간 정도 주상절리 협곡을 보면서 걷는 길입니다. 이곳은 1억여 년 전 철원 북쪽, 지금은 북한 땅에 있는 오리산(453m)이 폭발, 현무암 용암류가 그 위로 흐르면서 생겨난 침식 지형으로 국내에서는 보기 드문 현무암 주상절리 협곡이랍니다. 이 ..

국내 여행 2022.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