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30

멕시코의 수도, 멕시코 시티와 떼오띠우아깐

인류학박물관에서 지하철을 타고 소깔로까지 이동, 광장 주변의 성당과 대통령궁을 돌았습니다.모두 11개 노선의 지하철은 환승 표시가 잘 되어 있어서 이용하기 편했지요.치안이 안 좋기로 유명했던 멕시코시티가 10년이 지난 지금은 지하철에서도 별 문제가 없어 보였네요. 대성당은 식민지배자들이 마지막 고대 문명인 아스텍의 수도, 테노치티틀란의 '태양의 신전'을 무너뜨리고 그 위에 지은 것으로 여러 차례의 지진에 파손되면서 계속 보수 중이었습니다.    광장을 둘러싸고 있는 그들의 건물 중 하나인 국립궁전도 역시 보수 중.   아스텍의 목떼수마 2세 궁전을 파괴하고 그 자리에 세운 이 총독부 건물은    지금 대통령의 집무실과 몇 개의 정부 부처로 사용되면서  별다른 검색 없이 여권을 제시하고 자유롭게 들어갈 수..

멕시코, 멕시코 시티의 국립인류학 박물관

26일간의 남미 단체배낭 투어를 마치고 도착한 페루의 수도, 리마에서  그동안 여행을 같이 했던  일행들과 헤어진 후 남편과 둘이 항공 이동,멕시코의 수도인 멕시코 시티에 들어왔습니다. 멕시코는 한반도의 9배인 면적에 60%의 메스띠소와  30%의 원주민으로 구성된 나라입니다.이 땅에는 기원전 1200년 경부터 올멕, 떼오띠오아깐, 똘떽, 마야, 아스텍 등의 고대 문명이 이어졌지만16세기부터는 300년에 걸쳐 침략자, 스페인의 식민지배를 받습니다.1821년 독립 후에는 미국과 영토 전쟁이 벌어지면서 캘리포니아와 텍사스 땅을 빼앗겼고 거기에 뉴 멕시코와 애리조나 등을 미국에 헐값에 팔아 넘기면서 국토의 절반 이상을 잃었지요.   자유주의적인 개혁, Reforma의 시대가 열리면서도 계속된 내전과 권력 다툼..

다시 보는 마추픽추!

'아구아 깔리엔떼스 마을' 광장에는 잉카 제국을 상징하는 무지개 깃발이 보입니다. 안데스의 원주민들은 오래전부터 이 무지개가 인간세상과 하늘을 이어준다고 믿었답니다. 오늘은 이 마을에서 유네스코 문화유산인 마추픽추에 가기 위하여 기념사진 한 장 남기고 셔틀버스를 탔습니다. 안내판에서 보이는 구절양장의 이 길을 30분 정도 오르면 입장료에 여권까지 등록 후, 잉카의 성채도시인 마추피추(2430m)로 들어갑니다. 스페인 정복 당시의 잉카는 최대의 전성기였지만 소수의 피사로 군대에게 무자비한 공격을 받으면서 살아남은 잉카인들은 오지의 이 요새로 쫓겨왔고 그러던 어느 날, 그들은 알 수 없는 이유로 마을을 불태우고 더 깊은 곳으로 사라졌답니다. 잉카인들이 떠나 폐허가 된 이 땅은 400여 년이 지난 1911년,..

꾸스꼬와 근교 여행

잉카 익스프레스를 타고 잉카 문명을 찾아서 페루의 꾸스꼬로 가는 길. 차창 밖으로 안데스의 설산과 시골 마을의 풍경이 보입니다. 띠띠까까에서 강림한 만코 카파크는 13세기경, 자신의 부족을 이끌고 꾸스꼬를 기점으로 태양의 신전을 세우면서 주변지역을 차례차례 정복하여 대제국을 건설합니다. 호전적인 잉카인들은 지금의 에콰도르, 칠레, 아르헨티나 북부까지 그 세력을 확대해 나갔지만 1525년 와이나 카파크의 죽음 이후, 두 아들 사이에 권력다툼이 벌어지면서 이 틈을 탄 스페인의 피사로에게 정복되었습니다. 현재의 페루는 한반도의 6배가 되는 넓은 땅에 45%의 원주민과 37%의 메스띠소(원주민과 백인의 혼혈)가 살고 있습니다. 스페인의 400여 년에 걸친 식민통치 기간 중 크고 작은 저항의 과정에서 원주민은 1..

페루, 뿌노와 띠띠까까

페루의 뿌노에 도착하여 호텔에 짐을 풀고 곧 띠띠까까 호수 유람에 나섰습니다. 우로스 섬입니다. 갈대로 만든 인공의 이 우로스 섬은 그 옛날, 호전적인 잉카 제국의 침략을 피해 호수로 들어갔던 우로스 부족이 사는 곳. 그들은 수심이 얕은 호수에 갈대의 뿌리를 묶은 두터운 단을 쌓고 그 위에 갈대 줄기를 겹겹이 덮어 물이 새지 않게 한 후 갈대집을 짓고 삽니다. 그렇지만 물과 닿은 부분은 곧 썩기 때문에 3개월마다 새 갈대로 교체해 주어야 한답니다. 큰 우로스 섬에는 운동장과 농구대를 갖춘 학교도 있습니다. 사진 오른쪽에 이들이 만든 갈대배, 토토라가 보이네요. 직접 만든 수공예품을 여행자들에게 파는 것이 그들의 큰 수입원입니다. 원색의 화려한 천들도 매력적이었지요. 나는 잉카의 상징인 해와 달이 그려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