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30

중국 실크로드 1

2001년 8월 10일부터 17일까지 8일간 친구와 둘이 여행사 패키지 상품으로 중국 실크로드에 다녀온 여행일기입니다. 필름 시절의 여행으로 원판은 없어지고 인화해 놓은 사진도 변색되어 자료로 쓸 수 있는 것이 많지 않기에 아예 여행일기를 올려 놓았습니다. '실크로드(絲綢之路)'는 기원전, 2~3세기경에 시작된 아시아와 유럽,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무역로이자 세계사가 전개되는 한 중심.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헬레니즘, 인더스, 황하의 여러 문명이 섞이고 기독교, 조로아스터교, 이슬람교, 불교 등의 종교에 동양과 서양의 문화, 문물이 교차되는 길목이었고 그 길목에는 여러 오아시스 도시가 세워져 상업과 종교의 중심지로 발전했다. 실크로드의 출발점이자 종착점은 중국 서안(그 당시의 장안). 로마까지는 직선거리..

인도 3, 네팔

2001년 1월 4일 (목요일) 제10일, 알라하바드 → 바라나시 여자들의 사회활동이 드문 지 일 없이 거리에서 빈둥거리는 것은 모두 남자.델리를 빼고는 수질이 안 좋다.  역시 안개 때문에 맑은 야무나 강과 탁한 갠지스 강이 만나는 상감 구경을 못했다.올해 태양력으로 1월 9일부터 2월 26일까지인 꿈부멜라 기간, 이 두물머리 강변에는 수많은 텐트가 들어섰다.그러면서 붙은 임시 도시 이름이 꿈부나가르.사람들이 타고 온 버스가 여기 저기 서 있고 이 강의 물로 세탁한 4-5미터 길이의 젖은 사리를 잡고 말리는 여자들이 많이 보였다.그들의 경전인 베다를 읊는 소리가 넓은 들판에 퍼진다.각양각색의 사두, 구루들의 모습도 이채로웠다.힌두인들은 살아서 갠지스에 목욕하며 그 물을 마셔 죄를 씻고 죽어서는 이 강가..

2. 인도, 네팔 2009.12.26

인도 2

2000년 12월 29일 금요일 제4일, 보팔 → 뉴델리 새벽 4시 보팔 도착.호수를 끼고 있는 이 조그만 동네에는 인구의 48퍼센트가 무슬림으로 이슬람사원이 많단다. 호텔에 짐을 풀고 잠깐 휴식 후 '산치 대탑'을 보러 나갔다.불교 전성기인 아쇼카 왕 때 사암으로 만들어진 이 탑은 무슬림의 파괴를 입지 않아 그 원형이 온전히 남아 있다.제 1수투파는 규모가 큰 탑으로인물 숭배를 금지한 석가모니의 뜻에 따라 연꽃, 수레바퀴, 보리수, 발자국 등과 같이  초기 불교의 상징이 되었다. 보팔에서 오후 2시 40분에 출발하는 델리 행 기차를 탔다. 밤늦게 도착 예정.기차에서 나누어 준 저녁 도시락이 입에 맞지 않기에 옆에 놔두었더니 델리에 도착하자마자 우루루 뛰어 올라 온 현지인들이 모두 가져갔다. 내일부터 델..

2. 인도, 네팔 2009.12.24

인도 1

2000년 12월 26일부터 2001년 1월 9일까지, 길잡이가 있는 14박 15일의 여행사의 단체 배낭팀에 합류, 여행 친구 1명과 인도, 네팔을 돌아다닌 여행일기입니다.필름 시절의 여행으로 원판은 없어지고 인화해 놓은 사진도 변색되어 자료로 쓸 수 있는 것이 많지 않기에 아예 여행일기를 올려 놓았습니다.  2000.12.26 (화) 제1일, 출발 오후 김포 공항에서 7시 20분 이륙. 뭄바이 도착. 밤 12시 30분. 8시간 비행. 시차는 3시간 30분 늦어진다. 인디아라는 국호는 인더스 강에서 유래.중동와 동남아시아를 잇는 중간에 있어 동서로는 인더스강 유역에서 갠지스 강까지, 남북으로는 히말라야에서 케이프 코모린까지의 광대한 땅을 가진 나라로그 크기는 우리나라의 15배, 남한의 33배 넓이. 인구..

2. 인도, 네팔 2009.12.21

이집트

밤 8시 20분 비행기로 카이로 도착.이곳의 교통질서는 엉망. 모든 차들은 경적을 울리며 경쟁적으로 달렸다.문짝도 없는 미니버스는 사람을 가득 태우고도 질주, 신호등이 있어도 지키는 사람이 없다.초록색 신호에 따라 횡단보도를 건너가는 일도 안심할 수 없을 정도이니 차와 사람이 뒤엉킨 무질서가 대단했다. 아프리카 북동쪽에 있는 이집트는 해마다 정기적으로 범람하는 나일강변의 비옥한 땅을 중심으로 세계 최고의 고대 문명, 이집트문명을 꽃피웠다. 기원 전 3000년 경 부터 발달한 이집트문명의 유적은 피라미드와 스핑크스가 대표적.그들의 홍수를 극복하려는 노력은 십진법과 수학, 기하학을 발달시켰으며 측량술, 천문학을 창안하여 전 세계인이 쓰는 달력을 만들었고 파피루스와 상형문자를 이용한 기록문화를 만들었다. 기원..